전체 글99 오늘은 선물이다(today is a gift) Yesterday is history, 어제는 역사이고,tomorrow is a mystery, 내일은 수수께끼이다.but today is a gift. 하지만 오늘은 선물이야. That is why it is called the present. 그래서 present라고 불리는 거지. 쿵푸팬더에 나온 명대사과거는 이미 지난간 일이기 때문에 바꿀 수 없고,내일은 아직 오지 않았기 때문에 알 수 없는 수수께끼일 뿐이다.하지만 현재는 내가 컨트롤 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현재에 충실한 삶을 살도록 하자. 출처 : 쿵푸팬더1 2025. 4. 8. 근거 없는 자신감의 중요성 근거없는 자신감이 중요하죠.그게 근거가 있는 자신감은 너무너무 연약해요.예컨대 수학을 예로 들면내가 반에서 1등을 했어그러면 "나는 수학을 좀 하나보다" 라는 식으로자신감에 근거를 두다보면 금방 깨지거든요.대학원에 가고, 박사 후 연구원을 하고 그러면은세상에 나가 보면은 그런 사람들 많고"내가 그렇게 특별한 사람이 아니었구나"이런 걸 어느 단계에선가는 크게 깨닫게 되거든요.그러니까 그거를 자기 자존감의 원동력으로 삼으면언젠가 한 번은 힘든 시기를 겪을 수도 있으니까좀 더 본질적인 데에서 자양분을 끌어올리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유퀴즈에 출연한 필즈상 수상자 허준이 교수의 명언보통 사람들이 아무런 근거도 없이 잘난척을 하면 근자감(근거없는 자신감)이라고 비아냥 거리는데,유퀴즈에서의 허준이 교수 발언은 발.. 2025. 4. 8.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 - 가바사와 시온 1. 의욕과 열정의 행복물질 도파민뇌 내 물질인 도파민이 분비되면 행복해진다.뇌에 보상을 주면 동기부여가 된다.도파민의 보수 사이클을 돌려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적당한 난이도의 작은 목표(마일스톤)를 설정하면 큰 목표를 이룰 수 있다.목표를 달성한 자신의 모습을 생생하게 떠올려보자. 명확하게 상상할수록 실현 확률이 올라간다.즐기면서 실행하는 것이 최고의 성공비결이다.목표를 달성하면 자신에게 상을 준다. 그것이 다음 일을 할 동기부여로 이어진다.목표를 달성하면 그에 만족하지 않고 즉시 다음 목표를 설정한다.뇌는 도전을 좋아한다. 항상 도전함으로써 성장할 수 있다. 2. 짧고 임팩트 있게 활용하는 노르아드레날린뇌 내 물질인 노르아드레날린은 '투쟁 또는 도피'라는 상황에서 분비된다.공포나 불안에 의해 노르.. 2025. 3. 18. JVM Thread dump 확인 방법 1. JVM Thread dump 확인 방법1) 아래와 같은 Shell 생성 후 수행#!/bin/shPID=`ps -ef | grep java | grep -v grep | awk '{print $2}'`echo "PID is ${PID}"# 3회 수행for num in 1 2 3do DATE=`date +%Y%m%d%H%M%S` # 선 thread dump jstack $PID > before_dump_$DATE.txt # high cpu의 thread 검색(아래 중 택1) # ps -lmT ${PID} > high_cpu_thread_$DATE.txt # top -Hbn1 -p ${PID} > high_cpu_thread_$DATE.txt top -H -n1 -p ${PID} -b >.. 2025. 2. 12. MessageSource 기능을 static 메서드로 사용하기 스프링부트에서 개발 진행 시 MessageSource를 구현하여 YMAL에 등록한 메시지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messageSource.getMessage... 이런 식으로) 그런데 이렇게 되면 메시지를 사용하는 모든 소스에 MessageSource를 의존성 주입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소스코드가 지저분해진다. 그래서 MessageSource를 의존성 주입을 받지 않고, static 메서드로 선언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우선 이번 실습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MessageSouruce가 구현되어 있어야 가능하다. MessageSource 구현 : package com.config; import net.rakugakibox.util.YamlResourceBundle; import org.s.. 2022. 3. 18. Spring Batch 기동 시 JOB 상태를 STARTED에서 FAILED 로 변경하기 이번 글에서는 Spring Batch 기동 시 배치 상태를 STARTED에서 FAILED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Spring Batch 를 개발하다 보면, 코드 검증 등을 위해서 WAS 재기동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Spring Batch의 특정 Job이 실행 중일 때 재기동을 하게 되면 해당 Job은 STARTED 상태로 남아있게 되며, 만약 Job의 중복 실행을 방지하는 코드가 들어가 있게 되면, STARTED 상태인 Job은 실행이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매 재기동 시마다 STARTED인 상태의 Job을 FAILED나 COMPLETED 상태로 변경한 후 Job을 실행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런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동 시 배치 상태를 STARTED에서 FAIL.. 2022. 3. 17. SqlSessionFactoryBean setMapperLocations에 mapper.xml 여러 개 등록하기 이번 글에서는 스프링부트에서 mybatis 사용 시, SqlSessionFactoryBean의 setMapperLocations 메소드에 mapper.xml을 여러 개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우선 스프링부트 서비스에서 DB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application.yml 파일에 DB 접속정보를 작성하게 되는데, 여러 개의 DB에 접근해야 하는 경우는 별도의 Java Config 작성 후, @MapperScan 어노테이션에 해당 DB 에 접근하는 SQL mapper 인터페이스의 패키지 위치를 작성하고, SqlSessionFactoryBean의 setMapperLocations 메소드로 mapper.xml의 위치를 지정해주게 된다. package com.project.common.config;.. 2022. 3. 17. 이전 1 2 3 4 ··· 15 다음